What's News
게시물 내용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4-11-04
- 조회수
- 237
- 첨부1
- 별첨-1, WHO, Tuberculosis Laboratory Biosafety manual, WHO, 2012, 9789241504638_eng.pdf
- 첨부2
- 별첨-2, NSF-ANSI 49 - 2014.pdf
우리회사, 국제씨엘에스(주)에서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사용하여
생물안전작업대(BSC) 멸균작업을 아래와 같은 표준운영절차에 따라서 진행하며
근거 및 세부 절차를 여기에 게재합니다.
생물안전작업대(BSC) 멸균작업
표준운영절차서(SOP) / 국제씨엘에스㈜
근거-1 :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안전관리지침 (2014. 질병관리본부)
유지/보수 및 검증/점검 절차서 보유 (7쪽)
“상세한 절차서(SOP)를 해당 3등급 연구시설에 적합하게 분야별로 보유해야 하며”
“절차서(SOP)의 예 : 훈증소독 SOP, 생물안전작업대(BSC)
SOP, 헤파필터 교체 SOP”
근거-2 : BMBL (Biosafety
Microbiological and Biomedical Laboratories) 6th
Appendix B ? Decontamination and Disinfection of Laboratory Surface and Items
Chlorine Dioxide Gas (406쪽)
“Chlorine dioxide gas
sterilization can be used for decontamination of laboratory rooms, equipment,
Glove boxes, and incubators. The
concentration of gas at the site of decontamination should be approximately 10
mg/L with a contact time of one to two hours.
근거-3 : TUBERCULOSIS
LABORATORY BIOSAFETY MANUAL (WHO, 2012)
Decontamination
(page35)
BSCs
must be thoroughly decontaminated before filters are changed and before the
cabinet is moved;
Decontamination
must include plenums and filters.
See
standard NSF/ANSI 49-2008 for procedures and details of decontamination.
Decont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by a qualified professional.
근거-4 : NSF/ANSI 49-2014 Biosafety Cabinetry:
Design, Construction, Performance, and Field Certification
Annex G
G.1.3.2.1 Method 1 ? Fixed amount of CD
Annex K
Protocol
for the Validation of Alternate Biosafety Cabinet Decontaminating Methods and
Agents
멸균작업 절차
1. 고정된 양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오염제거 절차 / BSC decontamination procedure /
Method-1 Fixed amount of CD (chlorine dioxide)
(NSF/ANSI
49-2014, Annex G.1.3.2.1에 준함)
ⓐ 생물안전작업대 공간의 높이(high), 너비(width), 깊이(depth)를 곱하여 총 부피(입방피트 또는 입방 메타)를 계산하여 구한다.
ⓑ 오염제거에 필요한 이산화염소 양은 0.13gram/입방피트(4.7gram/입방메타) 이므로 생물안전작업대 내부의 부피를 적용하여
크기에 따른 필요한 이산화염소가스 생성 물질의 양을 구한다.
필요한 생성 화학물질의 양을 생성하기 위한 화학반응은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공급업체의 지침에 따른다.
ⓒ 생물안전작업대에 외부 덕트가 장착된 경우 배기 오염제거 댐퍼(damper)를
완전히 닫아 밀봉
(sealing)하고 밸런싱(balancing), 백드래프트(backdraft), EVAV 또는 기타 댐퍼는 원래 위치에 그 대로 둔다. 이 덕트와
배기 오염제거 댐퍼는 “기밀(gas tight)” 설계이어야
한다.
밀봉(sealing) 작업은 덕트의 끝부분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배기덕트의 길이가 3m를 초과하는 경우 증가된 부피를 보상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 생성 화학물질의 양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드문 경우지만 생물안전작업대 배기가 건물 순환 배기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배기 되거나 완벽하게 작동하는 기밀 오염제거
댐퍼가 없는 경우에는 건물 배기 시스템에서 생물안전작업대를 분리하고 기밀 밀봉(gas-tight seal)을
해야한다. (비닐 등 플라스틱 필름 및 접착테이프 사용).
ⓓ 생물안전작업대 배기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배기
HEPA/ULPA 필터 또는 포트(port)를 비닐 등 플라스틱 필름 덮개와 테이프로 완전히
덮어 밀봉한다.
ⓔ 가스 투입 튜브는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로부터 생물안전작업대 하부(beneath
the workspace)에 연결하고 리턴튜브는 배기 HEPA/ULPA 필터 위치에 연결하여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이산화염소 가스와 습도가 적절히 분배되면서 재순환(recirculation) 하도록
한다.
ⓕ 오염제거 과정 전반에 걸쳐 생물안전작업대 내부의 상대습도(RH)를 60-85% RH에서 유지해야 한다.
가습기를 생물안전작업대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 포트는 외부의 별도 전원을 사용해야 한다.
ⓖ 생물안전작업대 내부의 이산화염소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화학적 흡착 시스템(chemical scrubbing system)을 준비하여
in-let/out-let 튜브를 연결한다.
흡착 시스템에는 보통 과립(granules) 또는 펠렛(pellets) 타입의 활성탄이 사용된다.
ⓗ 두꺼운 비닐 등 플라스틱 필름으로 작업 영역의 열린 공간을 밀폐한다.
밀폐(seal)는 누출(leak) 가능성이 있는
전기코드 출구, 순환되는 가스 입, 출구 호스, 샤시(sash) 주변, 필름과
생물안전작업대 접합 부분 등 모든 영역이 포함된다.
ⓘ 생물안전작업대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결정한다.
ⓙ 생물안전작업대 멸균 작업 시 온도는 15℃ 이상, 습도는 60-85% RH 이어야 한다.
원하는 습도에 이를 때까지 물이 담긴 비이커와 핫플레이트(hot plate) 또는
적합한 습도 생성 수단을 사용하여 습도를 조절한다.
가습하는 동안에는 생물안전작업대 블로아와(또는) 재순환 블로아를 작동시킨다.
ⓚ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를 가동하기 전에 작업공간 또는 실험실에 제한구역을 설정하고 위험 표지판을
설치한다.
제한구역은 반경 6m로 하며 생물안전작업대가 위치한 실험실 또는 그
주변은 상대적으로 음압이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하여 가스의 누출을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
또한 제한구역 내 출입은 적절한 교육을 받은 직원으로 제한된다.
ⓛ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를 가동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물안전작업대로 투입한다.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은 0.13gram/입방피트(4.7gram/입방메타)에 따른다.
ⓜ 생물안전작업대 블로아(사용 가능한 경우)와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재순환 블로아는 가스가 투입되는 동안에는 가동되어야 하며 가스 투입이 완료되면
적어도 15분에 1분 동안 블로아를 가동한다.
ⓝ 이산화염소 가스를 투입 시작한 시점에서 85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산화염소 가스가 최고 농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10분 미만이라고 가정한다.
ⓞ 생물안전작업대에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흡착시스템(scrubber)을
가동한다.
생물안전작업대 블로아(사용 가능한 경우)와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의 재순환 블로아는 이 기간 동안 가동 시킨다.
ⓟ 생물안전작업대의 이산화염소 가스 농도가 단기허용노출한계(STEL,
Short-Term Permissible Expposure
Limit)인 0.3ppm에 도달할 때까지 충분한 시간을 운전 및 대기한다.
이 시간은 흡착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최소 30분이 소요된다.
2. BI(Biological
Indicator), 6쌍(pair) 위치
(NSF/ANSI
49-2014, Annex K에 준함)
① 배기필터(exhaust HEPA 필터) 중앙부(center)에 1쌍
쌍을 HEPA 필터의 접힌부분, 주름(pleat)에 끼워 넣는다.
② 배기필터(exhaust HEPA 필터) 좌측 모서리(corner)로부터
7.5cm 이내의 위치에 1쌍 쌍을 HEPA 필터의
접힌부분, 주름(pleat)에 끼워 넣는다.
③ 배기필터(exhaust HEPA 필터) 우측 모서리(corner)로부터
7.5cm 이내의 위치에 1쌍 쌍을 HEPA 필터의
접힌부분, 주름(pleat)에 끼워 넣는다.
④ 급기필터(supply HEPA 필터) 중앙부에 1쌍을 HEPA 필터의
접힌부분, 주름(pleat)에 끼워 넣는다.
⑤ 상부 블로아가 위치한 공간(positive pressure plenum)에
한쌍
⑥ 하부 공간(beneath the work surface in the plenum)에 한쌍
3. 한 쌍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BI를 배양한 결과로 사이트 테스트(site test) 적, 부를 판정한다.
(NSF/ANSI
49-2014, Annex K에 준함)
ⓐ 두 개의 BI 모두가 음성(negative)이면 합격으로 인정(deemed successful)
ⓑ 두 개의 BI 모두가 양성(positive)이면 불합격으로 인정(deemed a failure)
ⓒ 두 개의 BI 중에서 한 개는 positive 또 한 개는 negative인 경우에는 조건부 합격(conditional pass).
4. 최종적으로 6개 위치(site)의 BI를
대상으로 멸균 작업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한다
(NSF/ANSI
49-2014, Annex K에 준함)
ⓐ 6개 설치위치(site) 모두에서 합격이면 합격(successful, pass)
ⓑ 6개 설치위치(location) 중에서 두 개 이상의 위치에서
불합격이면 불합격(unsuccessful, a fail)
ⓒ 6개 설치위치(site) 중에서 단지 한 개의 설치위치(site)에서 만 불합격인 경우에는 조건부 합격(conditional
pass)
ⓓ 불합격 판정의 결과를 득하면 멸균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한다.
-끝-
국제씨엘에스㈜ 멸균작업 표준운영절차서(SOP)
SOP번호 : ICLS-CDBSC-No.V3
최종개정일자 : 2024년 10월
30일
개정번호 : Ver. 03
국제씨엘에스㈜ / www.cdgaskorea.com /
031.695.5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