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News
What's News
게시물 내용
[BSC], 세포독성 항암제 불활화 [멸균작업 한 번으로 두 마리 토끼 잡기]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5-08-18
- 조회수
- 147
- 첨부1
- BSC 멸균 및 세포독성 항암제 불활화 PT.pdf
- 첨부2
- 기초번역, 10-11쪽 참조, USP (800) HD, hazardous drugs - handling in healthcare settings, gc-800-rb-notice-20190531 (1).pdf
현대의학의 발전에도 여전히 암은 많은 사람들에게 절망감을 안겨주고 있으며
사망원인으로 탑에 올라있습니다.
항암제는 암을 완치 시켜주며 병을 완화 시켜주고 또 진행을 늦추어 준다고 합니다.
항암제는 "세포독성 항암제", "표적 항암제" 그리고 "면역 항암제"로 구분되며
이 중에서 세포독성 항암제는 아래의 USP 기준 HD(hazardous drugs)의 리스트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USP [800] Hazardous Drugs - Handling in Healthcare Settings
USP 800을 설명한 내용에서 아래의 문구가 보입니다.
"매년 800만 명이 넘는 미국 의료 종사자들이 유해한 위험 약품(HD)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HD 노출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두통, 탈모, 시력 문제, 생식 건강 문제 그리고 암 위험 증가 등이 있습니다."
별첨의 USP [800] Hazardous Drugs - Handling in Healthcare Settings 에
비활성화(불활화)와 오염제거에 대하여 기술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5. 비활성화, 오염제거, 세척 및 소독"...........10쪽 참조
"HD를 취급하는 모든 구역과 재사용 가능한 모든 장비 및 장치는 비활성화 되고 오염제거 되어야 합니다."
"해당 기관은 오염제거, 비활성화, 세척 그리고 멸균 조제 구역 소독에 대한 서면절차를 수립해야 합니다.
"15.1 비활성화"............10쪽 참조
"비활성화는 화합물을 불활성화 합니다. 비활성화로 인한 잔류물은 표면의 오염 제거를 통해 제거되야 합니다."
"모든 화합물을 비활성화 하는 검증된 방법은 없습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표면의 완전한 오염 제거입니다.
가능하면 비활성화 특성이 알려진 제품(예: 의도된 용도에 적합한 EPA 등록 산화제)을 사용해야 합니다."
"17. 문서화 및 표준운영절차"...............11쪽 참조
"해당 기관은 HD가 사용되는 모든 상황에서 HD를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한 SOP를 유지해야 합니다."
"비활성화, 오염제거, 세척 및 소독, 분배, 운송, 투여, 환경 모니터링(예: 닦기, 샘플링), 폐기"
우리는 BSC를 대상으로, 이 세포독성 항암제의 불활화를 별도의 작업 없이
BSC 멸균 작업으로 한 번에 마무리 하고자 합니다.
별첨의 Presentation을 검토하여 주시도록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베타락탐 항생제의 불활화 경험이 있으므로 해 볼 만 하다고 봅니다.
그렇지만 아직 세포독성 항암제의 불활화 경험이 없으므로 해당되는 생물안전시설기관의 의견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송형범드림 (010.3958.8286)